난청⬝보청기
목소리가 지나치게 크거나, "뭐라고?"
라고 자주 되물으신다면
난청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방치하면 치매나 뇌기능 저하를
유발하므로 늦지 않은 시기에
보청기 착용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매예방에 있어서 보청기의 중요성

난청이란
무엇인가요?
보청기가
치매예방을 어떻게 도와주나요?










난청이란,
소리 신호가 귀에서 뇌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이상이 생긴 경우입니다.
난청의 종류

①감각신경성
②전음성
01
치매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보청기
-
난청은 The Lancet(2017)의 논문에서 치매의 첫번째 위험요인으로 꼽힘
-
난청은 노인들을 사회로부터 서서히 소외되게 함으로써 인지기능을 둔화함
02
난청환자들의 치매 발병률이 높음
Hearing Loss And Dimentia(2011)의 논문에서
치매에 걸리지 않은 39세~90세의 난청 환자들을 12년~18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중증도 이상의 난청환자들은 2배 더
치매 발병률이 높았고, 극심한 난청을 가진 사람들의
치매 위험은 거의 5배로 증가했음
03
보청기 구매 후 청각재활의 중요성
보청기와 같은 의료장비는 단순히 구매하는 것으로만 청각의 재활을 도와주지 않습니다. 매일 착용해야하는 의료장비들은 체계적인 검진, 보정, 주기적인 피팅등 꼼꼼한 체크가 필요합니다.
1. 감각신경성 난청
-
달팽이관, 청신경, 혹은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유발되는 난청
-
고령, 약물 부작용 등의 원인
2. 전음성 난청
-
외이, 고막, 중이 등 소리를 전달해 주는 기관의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난청
-
만성 중이염, 고막 천공, 귀지 등으로 인한 외이도 폐쇄가 주원인
3. 혼합신경성 난청
-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의 혼합된 유형
4. 소음성 난청
-
큰 소리자극에 의해 생긴 청력의 이상 증상
-
단발적인 폭발음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소음에 의해서도 유발됨.
맑은성모 이비인후과는 다릅니다!
차별화
청각재활 프로그램
-
전문적인 청각사가 운영하는 청각센터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재활프로그램을 실시
-
환자가 보청기를 편안하게 여기실 때까지 반복적인 피팅과정을 제공
1
대학병원급
최신식
검진/보정
장비 완비
-
청각 검사 장비(interacoustics AC40)
-
이음향 방사기
-
실이 측정 기기(REM) -청각센터와 연계
-
청각장애 진단을 위한 청성뇌간반응 검사기기(ABR)
-
보청기 성능 검사기(HIT)
2
정부지원
보청기
양측 60dB 이상의 소리에 청력 감지가 가능한 청각장애 대상자는 정부 보청기지원 제도에 따라 보청기 구매시 보조금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3번의 검사를 거쳐 국민연금공단의 장애심사를 거쳐야 합니다.
3
4
언어
재활치료
본원에서는 전문언어재활사의 언어점검 및 훈련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청능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